1. CO2 센서 구입하기
- RX-9 은 RX-9 Simple 두 가지가 있고, Simple 은 Analog 값이 아닌 3단계 또는 4단계로 표시됨
- RX-9 은 아래처럼 뒷면에 calibration 정보가 프린트 되어 있음
- 센서 제조사 페이지: https://www.exsen.co.kr/rx-9
- github : 샘플 코드 및 기타 세부 정보: https://github.com/EXSEN/RX-9
- 참고로 여기서 구입 --> https://shopping.interpark.com/product/productInfo.do?prdNo=6767554516
2. 센서 연결 선 붙이기
- 센서 핀의 핀 간격이 2.0mm (아마) 로 작아서 브레드 보드나 점프선이 연결되지 않아서 아래 처럼 점프선을 납땜해줘야 빵판에 꼽을 수 있음
3. 브레드 보드 회로 구성하기
- EX-9 V : 3.3v 전원에 연결
- EX-9 G : GND 에 연결
- EX-9 E : GPIO 15에 연결
- EX-9 T : GPIO 4에 연결
- 알다시피 GPIO2 는 ESP32 DEVKIT V1 에서 LED가 붙어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음
4. 샘플 코드 적용하기,
QR Code 에서 Calibration 정보 가져 오기 QR code comprised with 22 digits. For example, it is 4054 6007 166 K0723BDA10A 4054 is calibration factor A A is calculated in co2 calculation formula as 405.4 6007 is calibration factor B B is calculated in co2 calculation formula as 60.07 166 is Temperature compensation factor 166 is calculated in co2 calculation formula as 1.66 K0723BDA10A is serial number. |
- https://github.com/EXSEN/RX-9 에서 샘플 소스 가져오기
- RX-9_QR_Header\examples\RX9SampleCodeQR_RX9\RX9SampleCodeQR_RX9.ino 소스를 기반으로 작업하면 됨
- 아래 값들에 대해 수정 필요
- GPIO 핀 (ADC 가 되는 핀의 종류가 있음)
- ADC 관련 사항, ESP32 는 3.3v 기본에 0 ~ 4095 resolution 으로 ADC 함
- QR 코드에 있는 Cal 정보 적용
5. 라이브러리 적용하여 빌드하기
- 위 상태에서 그냥 빌드하면 라이브러(RXQR.cpp) 적용 안되어 있으므로 빌드 에러 남
- 라이브러리 추가 메뉴에 들어가
- github 에서 RXQR.cpp 파일이 있는 폴더를 추가 해줌
- 그러구나서 보여지는 라이브러리 포함 시키면
- 소스에 맨 위에 #include <RX9QR.h> 가 추가된게 보인다. 이거 지우면 다시 빌드 에러 나므로 다시 포함 하기 해야함
6. 동작 시켜보기
- 아래 출력들은 동작 확인을 위해 EMF , THER 값까지 보이도록 소스 수정하여 동작 시킨 결과 임
- 전원을 넣으면 처음엔 맨 뒤에 WU 라고 표시되면서 (Warm Up) 중이라 아직 비정상임을 표시
- 한참 지나면 정상 적으로 값이 읽히기 시작
- 변화를 위해 센서 앞에서 숨을 내쉬어보면 아래 처럼 값이 올라가는게 보임
- 센서 특성인지 값이 다시 정상으로 내려가는데 까지 시간이 한참 걸림
- 후기 -
'아두이노 > 아두이노+ESP32'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P32 ESP IDF 설치하기 Windows 10 + VS Code (0) | 2022.07.10 |
---|---|
아두이노 ESP32 - USB로 Android와 데이터 주고받기, 안드로이드폰으로 간이 온도 습도 측정기 만들기 (1) | 2022.07.02 |
ESP32 브레드보드 2개로 연결하기 (0) | 2022.06.18 |
아두이노 ESP32 - WIFI 붙여 보기(Scan, AP, Simple Server - GPIO제어) (0) | 2022.06.15 |
ESP32 - 아두이노 시작하기 (0) | 2022.06.12 |
댓글